🏀 농구 분석 완벽 가이드
농구는 단순히 득점과 리바운드로만 평가되는 스포츠가 아니다.
오늘날의 농구는 데이터 분석과 전술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과학에 가깝다.
이 글에서는 농구 경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모든 핵심 요소를 단계별로 정리했다.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누구나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완성형 농구 분석 가이드다.
1️⃣ 농구 분석이란?
농구 분석(Basketball Analytics)은 경기 중 일어나는 수많은 플레이, 전술,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석해 성과를 평가하거나 전략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분석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
팀 분석: 공격과 수비의 효율, 전술 실행력, 라인업 조합의 시너지 등을 평가.
-
선수 분석: 개인 능력, 역할, 효율성, 경기 영향력 등을 수치로 측정.
-
전략 분석: 상대팀의 플레이 패턴과 약점을 찾아내 다음 경기에 활용.
2️⃣ 농구 분석의 기본 데이터
농구에서 분석의 기초가 되는 주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이 데이터들은 NBA Stats, Basketball Reference, Cleaning the Glass, Synergy Sports 등의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핵심 효율 지표 이해하기
▪ eFG% (Effective Field Goal Percentage)
3점슛의 가치를 반영한 실제 야투 성공률
공식: (FG + 0.5 × 3P) / FGA
→ 단순 야투 성공률보다 현실적인 슈팅 효율을 보여준다.
▪ TS% (True Shooting Percentage)
자유투를 포함한 진짜 슈팅 효율
공식: PTS / [2 × (FGA + 0.44 × FTA)]
→ 자유투와 3점슛을 모두 고려하므로 선수의 전반적인 득점 효율을 나타낸다.
▪ ORtg / DRtg (Offensive / Defensive Rating)
100개의 소유권(포제션) 당 득점 또는 실점 수치를 나타냄
-
ORtg ↑ → 공격력이 높다
-
DRtg ↓ → 수비력이 좋다
-
ORtg – DRtg = Net Rating(팀의 순 효율)
▪ PER (Player Efficiency Rating)
한 선수의 전반적인 경기 기여도를 하나의 수치로 표현
평균값은 15, 그 이상이면 리그 평균 이상이라는 의미다.
4️⃣ 전술(Play Type) 기반 분석
농구는 각 플레이마다 다른 구조와 의도가 존재한다.
Synergy Sports 기준으로 전술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각 전술의 **빈도(%)와 PPP(포제션당 득점)**를 함께 분석하면
팀의 공격 스타일과 효율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5️⃣ 라인업(조합) 분석
팀의 경기력은 단순히 스타선수의 활약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같이 뛰는 5명의 조합, 즉 라인업의 밸런스가 훨씬 중요하다.
라인업 분석 시 주로 확인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
-
Net Rating: 공격 효율 – 수비 효율의 차이
-
Pace: 경기 속도 (소유권당 공격 시도 횟수)
-
Assist Ratio: 팀 전체 패스 흐름 지표
-
Rebound Share: 특정 라인업의 리바운드 점유율
라인업별 통계를 보면
“어떤 조합이 가장 공격적으로 효율적인가?”
“어떤 조합이 수비에서 안정적인가?”
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6️⃣ 경기 영상(필름) 분석 절차
데이터만으로는 모든 걸 알 수 없다.
영상 분석은 실제 경기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스크린 타이밍, 공간 활용을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농구 필름 분석 절차:
-
데이터 수집: 3~5경기 박스스코어 및 고급지표 확보
-
클립 정리: 주요 장면(득점 루트·실점 루트) 구분
-
태깅: 전술, 공간, 수비 형태별로 분류
-
패턴 도출: 반복되는 장면 또는 전술 구조 확인
-
결론: 전술적 개선 포인트 또는 승리 요인 정리
예를 들어,
-
상대가 Pick & Roll 상황에서 헷지 수비를 자주 쓰면,
-
볼 핸들러가 이를 읽고 빠르게 킥아웃 패스를 자주 시도했는지 체크한다.
7️⃣ 농구 분석이 중요한 이유
-
전략 최적화: 팀의 약점과 강점을 명확히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
선수 성장: 개인의 효율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승률 향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감에 의존한 전술보다 일관된 결과를 만든다.
-
콘텐츠 가치: 팬들이 경기의 숨은 맥락을 이해하게 되어 관전 재미가 커진다.
8️⃣ 분석을 위한 추천 사이트
NBA Stats : 공식 데이터, 트래킹 기반 통계 제공
Basketball Reference : 선수·팀·시즌별 종합 통계 데이터베이스
Cleaning the Glass : 컨텍스트(garbage time 제외) 기반 효율 분석
Synergy Sports : 플레이 타입별 포제션 분석 전문
FiveThirtyEight RAPTOR : AI 기반 선수 영향력 지표 (RAPTOR, WAR 등)
9️⃣ 분석 인사이트를 얻는 팁
-
단일 경기보다 10경기 이상 평균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
수비 지표는 상대 팀 슛 성공률과 PPP를 함께 본다.
-
공격 효율이 떨어질 때는 라인업 변화보다 전술 빈도 조정이 먼저다.
-
슈팅 성공률보다 **슈팅 선택(Shot Selection)**을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 결론 — 데이터가 말하는 진짜 농구
농구는 이제 ‘감’으로 하는 스포츠가 아니다.
선수의 움직임, 팀의 전술, 득점 루트 하나까지 모두 데이터로 설명 가능한 시대다.
분석은 단순한 기록 정리가 아니라, 경기의 본질을 해석하는 도구다.
농구를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데이터를 읽고, 영상으로 확인하고, 맥락으로 해석하라.
그것이 바로 현대 농구 분석의 시작이자 완성이다.